에스겔 17:11-24 / 언약에 충실한 새로운 왕
📖 성경 본문
11 여호와의 말씀이 또 내게 임하여 이르시되
12 너는 반역하는 족속에게 묻기를 너희가 이 비유를 깨닫지 못하겠느냐 하고 그들에게 말하기를 바벨론 왕이 예루살렘에 이르러 왕과 고관을 사로잡아 바벨론 자기에게로 끌어 가고
13 그 왕족 중에서 하나를 택하여 언약을 세우고 그에게 맹세하게 하고 또 그 땅의 능한 자들을 옮겨 갔나니
14 이는 나라를 낮추어 스스로 서지 못하고 그 언약을 지켜야 능히 서게 하려 하였음이거늘
15 그가 사절을 애굽에 보내 말과 군대를 구함으로 바벨론 왕을 배반하였으니 형통하겠느냐 이런 일을 행한 자가 피하겠느냐 언약을 배반하고야 피하겠느냐
16 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내가 나의 삶을 두고 맹세하노니 바벨론 왕이 그를 왕으로 세웠거늘 그가 맹세를 저버리고 언약을 배반하였은즉 그 왕이 거주하는 곳 바벨론에서 왕과 함께 있다가 죽을 것이라
17 대적이 토성을 쌓고 사다리를 세우고 많은 사람을 멸절하려 할 때에 바로가 그 큰 군대와 많은 무리로도 그 전쟁에 그를 도와 주지 못하리라
18 그가 이미 손을 내밀어 언약하였거늘 맹세를 업신여겨 언약을 배반하고 이 모든 일을 행하였으니 피하지 못하리라
19 그러므로 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내가 나의 삶을 두고 맹세하노니 그가 내 맹세를 업신여기고 내 언약을 배반하였은즉 내가 그 죄를 그 머리에 돌리되
20 그 위에 내 그물을 치며 내 올무에 걸리게 하여 끌고 바벨론으로 가서 나를 반역한 그 반역을 거기에서 심판할지며
21 그 모든 군대에서 도망한 자들은 다 칼에 엎드러질 것이요 그 남은 자는 사방으로 흩어지리니 나 여호와가 이것을 말한 줄을 너희가 알리라
22 주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시되 내가 백향목 꼭대기에서 높은 가지를 꺾어다가 심으리라 내가 그 높은 새 가지 끝에서 연한 가지를 꺾어 높고 우뚝 솟은 산에 심되
23 이스라엘 높은 산에 심으리니 그 가지가 무성하고 열매를 맺어서 아름다운 백향목이 될 것이요 각종 새가 그 아래에 깃들이며 그 가지 그늘에 살리라
24 들의 모든 나무가 나 여호와는 높은 나무를 낮추고 낮은 나무를 높이며 푸른 나무를 말리고 마른 나무를 무성하게 하는 줄 알리라 나 여호와는 말하고 이루느니라 하라
🧭 묵상 도우미
- 토성(17절): 흙으로 쌓아 올린 언덕 또는 성벽.
📝 오늘의 말씀 요약
하나님이 비유를 설명하십니다. 바벨론 왕이 유다 왕을 잡아가고 한 왕족을 택해 그와 언약을 맺지만, 그 왕족이 바벨론을 배반하니 하나님의 심판이 그에게 임합니다. 하나님이 백향목 꼭대기에서 연한 가지를 꺾어 이스라엘 높은 산에 심으시니 그 가지는 무성하고 아름다운 백향목이 됩니다.
🔎 해설
독수리와 포도나무 비유 해석 (17:11~21)
하나님이 독수리와 포도나무 비유를 해석해 주십니다. 바벨론 왕은 여호야긴을 바벨론으로 끌어가고, 시드기야를 유다 왕으로 세운 후 그와 언약을 맺었습니다. 바벨론 왕은 유다 왕이 자신과의 언약을 지켜야만 유다가 살아남을 수 있게 했습니다. 그러나 시드기야는 언약을 배반하고 애굽을 의지했습니다. 이에 하나님은 “바벨론 왕을 배반하였으니 형통하겠느냐 이런 일을 행한 자가 피하겠느냐 언약을 배반하고야 피하겠느냐”(15절)라고 물으십니다. 이는 포로 공동체를 향한 것으로, 하나님 언약을 배반한 유다가 살 수 있겠느냐는 물음입니다. 결국 시드기야는 바벨론으로 끌려가 죽게 되고, 유다는 패망합니다.
바벨론 왕을 배반한 시드기야는 결국 어떻게 되나요? 하나님 언약에 충실하기 위해 내가 품지 말아야 하는 생각은 무엇인가요?
하나님이 심으시는 새 연한 가지 (17:22~24)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새롭게 하실 메시아에 대해 말씀하십니다. 하나님은 백향목 꼭대기에서 연한 가지를 꺾어 높이 우뚝 솟은 산 위에 심으실 것입니다. 이는 여호야긴이나 시드기야와 같이 다윗 가문에서 난 새로운 왕을 시온에 세우시겠다는 약속입니다. 새로운 왕은 언약에 충실하기에 가지가 무성하고 열매를 많이 맺는 아름다운 백향목이 될 것입니다. 각종 새가 그 가지 그늘에 살듯, 세상 만물은 그로 인해 복을 누릴 것입니다. 이 말씀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온전히 성취되었습니다. 다윗 혈통으로 이 땅에 오신 예수님은 십자가 죽음으로 하나님과 인류의 깨어진 언약 관계를 온전히 회복시키셨습니다. 우리는 예수님을 통해 하나님과 함께하는 진정한 복을 누립니다.
백향목 꼭대기에서 꺾은 ‘연한 가지’는 누구를 가리키나요? 언약에 충실하신 예수님 안에서 나는 어떤 복을 누리고 있나요?
🙏 오늘의 기도
하나님, 하나님을 저버리고 자기 뜻대로 하는 패역한 백성에게도 다시 기회를 주시는 은혜에 감사합니다. 때로는 하나님의 길이 제가 원하는 길과 다를지라도 하나님께는 이유가 있음을 기억하게 하소서. 이제는 하나님 뜻을 구하고 그 뜻에 순종하는 믿음의 사람 되게 하소서.
✍️ 묵상 에세이
회개는 철저히, 삶은 정결하게
10여 년 전 부산성시화운동본부 주관으로 해운대 백사장에서 ‘회개의 날’ 집회를 열었다. 그날 참석자들이 자기 죄를 회개하면서 일곱 가지 약속을 한 것이 이채로웠다. “제 이익을 위해 다른 사람을 속인 것을 회개합니다. 손해를 보더라도 정직하게 살겠습니다.” “동료에게 심한 말을 했던 것을 회개합니다. 막말하지 않고 좋은 말만 하겠습니다.” “유흥 문화와 쾌락에 취해 살았던 것을 회개합니다. 퇴폐 문화를 멀리하고 깨끗하게 살겠습니다.” “가정을 소홀히 했던 것을 회개합니다. 방황하지 않고 가족과 함께하겠습니다.” “주변 어려운 이들에게 실제적 도움을 주지 못했습니다. 외면하지 않고 이웃을 돕겠습니다.” “환경을 보전하려는 노력을 하지 못했습니다. 불편하더라도 참고 아끼겠습니다.” “나라가 없으면 자유롭게 예배도 드리지 못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대한민국을 사랑하겠습니다.”
경제·언어·문화·가정·이웃·환경·나라 등 일곱 영역에서 정직하고 깨끗하게 살겠다, 참고 아끼며 사랑하겠다는 다짐이 매우 구체적이어서 더욱 감동을 주었다. 회개는 구체적으로 삶을 통해 나타나야 한다. 눈물만 흘린다고 회개가 아니다. 진실로 회개했다면 자신의 잘못된 행동을 구체적으로 고치는 과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그렇게 진정으로 회개하는 이들에게 주님은 큰 은총을 내리실 것이다.
우연히, 바로 그때! 하나님의 인도하심 / 원용일_ 브니엘
🪜 한절 묵상
에스겔 17장 16절 | 하나님의 뜻은 사람의 뜻과 다릅니다. 사람의 뜻은 한정된 경험에서 나오는 판단이지만, 하나님의 뜻은 세상을 창조하시고 다스리시는 하나님의 전능하심에서 나옵니다. 유다 왕 시드기야는 하나님의 뜻을 저버리고 자신의 판단을 의존하다가 바벨론에서 비참하게 생을 마감했습니다. 내 기준에서 말씀이 이해되지 않을 때도 하나님의 뜻을 신뢰해야 합니다. 인간의 판단은 한계가 있지만 하나님의 계획은 완전합니다. 하나님의 뜻을 신뢰하고 순종하는 것이 믿음입니다.
🌟 오늘의 명언
인생에서 어떤 것이 바닥나고 있을 때 반드시 해야 할 일은 힘과 영감을 주시는 주님께로 가는 것이다.
– 질 브리스코